
냉동장치의 시험은 내압시험 ▷ 기밀시험 ▷ 누설시험 ▷ 진공시험 순이다. 1. 내압시험 - 물 또는 오일 등의 액을 가압하여 시험한다. - 배관을 제외한 장치에 실시하는 시험으로써 내압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 시험방법 피 시험품에 오일 또는 물을 채워 공기를 완전히 배제한 후 액압을 서서히 가하며 피시험품의 각 부에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한다. 액압은 그 최고압을 1분 이상 유지한 후, 압력을 시험압력의 80%까지 저하시켜 용접부 등 이음매에 둥근 해머로 타격한다. 이 때 피시험품의 누설, 변형, 파괴 등이 없을 시 합격. - 제조사 scope 2. 기밀시험 - 내압시험에 합격한 배관을 제외한 장치의 내압강도 확인에 이어 그 기밀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 기밀시험은 누설의 확인이 용이..

모터의 기동방식은 직입기동, Y-delta, 리엑터, 인버터, 컨버터 기동방식을 주로 사용합니다. 이 기동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모터 기동 시 단상 모터는 4~9배, 삼상 모터는 2~5배 정도의 기동전류가 필요하므로 기동전류를 줄이기 위해 기동방식을 사용합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 기동방식을 사용하는 이유 1. 차단기를 대용량으로 선정하지 않기 위하여 기동전류가 커지면 차단기가 내려가므로 차단기를 큰 용량으로 바꿔야 하는데다가, 실제 과부하 발생 시에도 모터를 보호하지 못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차단기도 용량이 커지면 상대적으로 고가이므로 이를 유의해야 합니다. 2. 전기요금을 줄이기 위하여 기동전류가 크면 역률이 나빠져서 전기요금이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3. 모터 수명을 늘리기 위하여 # 기..

파이프 샤프트란,건축 설비를 배관할 수 있도록 상하층을 통하게 뚫어 놓은 공간을 의미합니다. 설비에서의 샤프트(SHAFT)에는 PS/PD, AD/ST, EPS 등이 있습니다. PS(Pipe Shaft)나 PD(Pipe Duct)는 기계설비에서 각종 배관들의 입상관(수직으로 최상층까지 올라가는 주관)을 위한 공간입니다. 각 층에서는 지관으로 배관이 되지요. 여기에 들어가는 배관에는 급수배관, 배수배관, 오수배관, 소화용배관 등이 있습니다. AD(Air Duct)나 ST(Smoke Tower)는 기계설비에서 환기나 배기, 통풍을 위한 수직으로 뚫려있는 공간을 말합니다. AD(Air Duct)에는 각종 통기관과 배기덕트, 정화조통기관 등이 들어갑니다. ST(Smoke Tower)는 지하3층 이하이거나..

1. 덕트 설계 순서 덕트는 공조대상 공간의 열부하를 구하여 그 열부하 처리에 필요한 풍량을 구하는 것을 출발점으로 한다. 이 소요 풍량에 의하여 실내의 공간분포가 좋아질 수 있도록 토출구, 흡입구의 개수 및 위치를 결정하고 이 토출구, 흡입구와 공기조화기를 연결하는 기술적, 경제적으로 가장 합리적인 덕트의 경로를 결정하여 도면에 그 개략도를 그린다. 그리고 각종 덕트 설계법 중에서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덕트 각부의 치수를 결정한다. 2. 덕트 설계 시 주의사항 1) 덕트 내 풍속 선정을 위한 일반적인 규칙은 없으나 대체적으로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은 허용풍속 이하로 한다. (표 1-1. http://blog.naver.com/donggu10/220885895177) 2) 소음/진동에 주의하고..

NFPA 90A에 따르면, 5.3.1.1 Approved fire dampers shall be provided where air ducts penetrate or terminate at openings in walls or partitions required to have a fire resistance rating of 2 hours or more. 2시간이나 그 이상의 fire wall 요건일 시 fire damper를 적용한다. 5.4.1.1 Fire dampers used for the protection of openings in walls, partitions, or floors with fire resistance ratings of less than 3 hours shall have a ..
Kv와 Cv는 밸브의 용량을 표시하는 계수로써, 흔히 밸브 용량계수라 부릅니다. Kv: 밸브의 차압이 1 bar일 때 5~30℃의 물이 통과하는 유량을 m3/h로 표시한 것 Cv: 밸브의 차압이 1 psi일 때 60℉의 물이 통과하는 유량을 gallon/min으로 표시한 것 Cv는 주로 미국과 이에 영향을 받은 국가에서 많이 사용하는 편이나, 점차 SI 단위계로 통일 되면서 Kv로 이동하는 추세입니다. 환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Cv = Kv x 1.17 그리고 유체가 액체 일 때 Kv를 구하는 공식은, Kv = Q (G /△P) ^ 0.5 단, Q:유량(m3/h), G:액체의 비중(물일 시 1), △P:압력손실(bar) 출처: Spirax sarco steam people no.36

모터는 권선 온도 증가에 따라 모터의 절연 등급은 구분됩니다. 권선 절연이 상승된 온도에 지속적으로 견딜 수 있는 것에 따라, A, E, B, F, H 로 나누어 집니다. (권선: 동 또는 알루미늄 와이어에 절연물질을 코팅한 것으로, 전자기기 내부에 코일 형태로 감겨져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선입니다. 변압기, 발전기, 자동차부품, 각종 가전제품 및 모터 등에 사용됩니다) (절연등급: 전동기가 주어진 운전온도에서 수명 20,000시간을 달성할 수 있도록 권선의 절연이 얼마나 잘되어 있으며 절연이 얼마나 오래 견딜 수 있는지를 표시하는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A,B,F,H의 4계급(NEMA)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절연 등급 B 등급이 사용됩니다. 절연 등급 B의 경우 주변 온도는..
정격전류(rated current)란 기기에서 시방서가 명시하고 있는 전류값으로, 그에 의해서 장치의 동작이라든가 온도 상승 조건 등이 산출되는 것이다. 정격 출력으로 동작하고 있는 기기, 장치가 필요로 하는 전류이며, 표준 시험조건에서 정격 출력으로 운전하고 있을 때의 기기, 장치의 전류를 의미한다. 단상일때 P(kVA)= V * I 삼상일때 P(kVA) = V * I * √3 1) AC100V 단상 5kVA의 전류는 위 공식에 대입하면 5kVA = 100V * I I = 5kVA ÷ 100V I = 50A 2) AC220V 3상 420kVA의 전류도 420KkVA = 220V * I * √3 I = 420kVA ÷ 220V ÷ √3 I = 1102.21A 참고로, 피상전력(kVA)에서 무효전력을 뺀 ..

2 in 1 실내기는 보통 스탠드 + 벽걸이 형태인데, 사진에서는 같은 공간에 스탠드와 벽걸이를 같이 설치한 저세상 사례임. 거실과 방이 멀어서 벽걸이를 방에 설치하면 시원하지 않다는 것은, 배관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압력손실 때문에 저압측 냉매압이 하락하고 이는 냉방능력 감소가 됨은 맞습니다. LG전자 휘센의 경우 가이드 라인을 10m 이상으로 잡고 있지만, 통상 수평 배관에서 압력손실을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15m까지는 무방한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일부 냉방능력 감소는 있음) 단, 실내기/실외기 간 높이차가 많이 날 경우 배관 길이가 짧더라도 더 큰 압력손실이 발생하므로 사전에 제조사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문제가 되더라도 실외기 모델을 한단계 높이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음)
- Total
- Today
- Yesterday
- 누설
- 세디멘트
- 필터
- v/v
- 정압재취득법
- 추정예탁자산
- 밸브
- 평가예탁금
- 추정예탁금
- 전압법
- 댐퍼
- 정수기
- 시험검사계획
- 등속법
- 미세먼지
- y delta
- 시험
- 정압법
- duct
- 덕트
- 등급
- 배관
- spot witness
- Motor
- 모터
- 가격
- 재질
- class
- F/B
- Damp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