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프 샤프트란,건축 설비를 배관할 수 있도록 상하층을 통하게 뚫어 놓은 공간을 의미합니다. 설비에서의 샤프트(SHAFT)에는 PS/PD, AD/ST, EPS 등이 있습니다. PS(Pipe Shaft)나 PD(Pipe Duct)는 기계설비에서 각종 배관들의 입상관(수직으로 최상층까지 올라가는 주관)을 위한 공간입니다. 각 층에서는 지관으로 배관이 되지요. 여기에 들어가는 배관에는 급수배관, 배수배관, 오수배관, 소화용배관 등이 있습니다. AD(Air Duct)나 ST(Smoke Tower)는 기계설비에서 환기나 배기, 통풍을 위한 수직으로 뚫려있는 공간을 말합니다. AD(Air Duct)에는 각종 통기관과 배기덕트, 정화조통기관 등이 들어갑니다. ST(Smoke Tower)는 지하3층 이하이거나..
1. 덕트 설계 순서 덕트는 공조대상 공간의 열부하를 구하여 그 열부하 처리에 필요한 풍량을 구하는 것을 출발점으로 한다. 이 소요 풍량에 의하여 실내의 공간분포가 좋아질 수 있도록 토출구, 흡입구의 개수 및 위치를 결정하고 이 토출구, 흡입구와 공기조화기를 연결하는 기술적, 경제적으로 가장 합리적인 덕트의 경로를 결정하여 도면에 그 개략도를 그린다. 그리고 각종 덕트 설계법 중에서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덕트 각부의 치수를 결정한다. 2. 덕트 설계 시 주의사항 1) 덕트 내 풍속 선정을 위한 일반적인 규칙은 없으나 대체적으로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은 허용풍속 이하로 한다. (표 1-1. http://blog.naver.com/donggu10/220885895177) 2) 소음/진동에 주의하고..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압법
- y delta
- 미세먼지
- F/B
- 정압재취득법
- 추정예탁금
- 평가예탁금
- 댐퍼
- 등속법
- duct
- 추정예탁자산
- 배관
- 필터
- 덕트
- 시험
- 가격
- class
- v/v
- Motor
- 정압법
- 모터
- 정수기
- 누설
- 재질
- 등급
- Damper
- 시험검사계획
- 밸브
- spot witness
- 세디멘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