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의 기동방식은 직입기동, Y-delta, 리엑터, 인버터, 컨버터 기동방식을 주로 사용합니다. 이 기동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모터 기동 시 단상 모터는 4~9배, 삼상 모터는 2~5배 정도의 기동전류가 필요하므로 기동전류를 줄이기 위해 기동방식을 사용합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 기동방식을 사용하는 이유 1. 차단기를 대용량으로 선정하지 않기 위하여 기동전류가 커지면 차단기가 내려가므로 차단기를 큰 용량으로 바꿔야 하는데다가, 실제 과부하 발생 시에도 모터를 보호하지 못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차단기도 용량이 커지면 상대적으로 고가이므로 이를 유의해야 합니다. 2. 전기요금을 줄이기 위하여 기동전류가 크면 역률이 나빠져서 전기요금이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3. 모터 수명을 늘리기 위하여 # 기..
모터는 권선 온도 증가에 따라 모터의 절연 등급은 구분됩니다. 권선 절연이 상승된 온도에 지속적으로 견딜 수 있는 것에 따라, A, E, B, F, H 로 나누어 집니다. (권선: 동 또는 알루미늄 와이어에 절연물질을 코팅한 것으로, 전자기기 내부에 코일 형태로 감겨져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선입니다. 변압기, 발전기, 자동차부품, 각종 가전제품 및 모터 등에 사용됩니다) (절연등급: 전동기가 주어진 운전온도에서 수명 20,000시간을 달성할 수 있도록 권선의 절연이 얼마나 잘되어 있으며 절연이 얼마나 오래 견딜 수 있는지를 표시하는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A,B,F,H의 4계급(NEMA)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절연 등급 B 등급이 사용됩니다. 절연 등급 B의 경우 주변 온도는..
정격전류(rated current)란 기기에서 시방서가 명시하고 있는 전류값으로, 그에 의해서 장치의 동작이라든가 온도 상승 조건 등이 산출되는 것이다. 정격 출력으로 동작하고 있는 기기, 장치가 필요로 하는 전류이며, 표준 시험조건에서 정격 출력으로 운전하고 있을 때의 기기, 장치의 전류를 의미한다. 단상일때 P(kVA)= V * I 삼상일때 P(kVA) = V * I * √3 1) AC100V 단상 5kVA의 전류는 위 공식에 대입하면 5kVA = 100V * I I = 5kVA ÷ 100V I = 50A 2) AC220V 3상 420kVA의 전류도 420KkVA = 220V * I * √3 I = 420kVA ÷ 220V ÷ √3 I = 1102.21A 참고로, 피상전력(kVA)에서 무효전력을 뺀 ..
- Total
- Today
- Yesterday
- 필터
- y delta
- Motor
- 재질
- 밸브
- 추정예탁자산
- 누설
- duct
- 전압법
- 모터
- 덕트
- 정압법
- spot witness
- 평가예탁금
- 추정예탁금
- 시험
- 정수기
- 시험검사계획
- Damper
- 배관
- 미세먼지
- 등급
- 댐퍼
- class
- 세디멘트
- F/B
- 가격
- 정압재취득법
- v/v
- 등속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