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래와 같은 문자를 증권사에서 받았다고 가정해보자. (아래는 미래에셋 SMS 기준)
첫번째 예시.
각각의 용어를 설명하면,
평가예탁금총액 : 계좌에 예탁된 자산의 현재 평가 금액. (보유한 선물에 대한 평가액)
위탁증거금총액 : 추가 거래를 실행하기 위해 예치되야 하는 최소한의 금액.
유지증거금총액 : 마진 콜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금액
추정예탁금총액 : 계좌에 예탁된 자산의 예상 금액. (현금을 미리 인출했을 시 평가예탁금총액보다 금액이 낮아짐)
현재의 상황은 유지증거금총액이 추정예탁금총액보다 큰 상황이므로 마진콜이 발생.
두번째 예시
1) 유지증거금총액 < 추정예탁금총액 : 마진콜 X
2) 위탁증거금총액 < 추정예탁금총액 : 해당 금액의 차 만큼 현금 인출 가능.
'잡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루즈 여행 유의사항 정리 (MSC Bellissima) (3) | 2024.09.11 |
---|---|
부모님 칼슘, 마그네슘, 비타민 D 구매 기록 (4) | 2024.07.29 |
정수기 필터 NSF 인증 확인하는 방법 (0) | 2023.07.25 |
정수기 필터 관련 질의 답변 (0) | 2023.07.25 |
식사 습관 (생로병사 방영분 간단 요약) (0) | 2022.07.28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배관
- 평가예탁금
- 재질
- F/B
- 가격
- 등급
- 추정예탁자산
- v/v
- Damper
- 밸브
- 정압재취득법
- 누설
- 시험검사계획
- y delta
- duct
- 댐퍼
- 정수기
- 필터
- 등속법
- 미세먼지
- 추정예탁금
- 시험
- class
- 세디멘트
- 전압법
- 정압법
- 덕트
- 모터
- Motor
- spot witnes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